Non-linear Wearing Narrative: When wear becomes a gesture, 2023 The initial piece of the Non-linear Wearing Narrative, ‘14 Dresses, 4 Dress,’ illuminated the personal dimension of garment engagement through the lens of individual recollections and experience embedded within the gesture of wearing. However, this film triggered a cascade of inquiries: Is the gesture of wearing transcend personal routine and ephemeral performances to evolve into shared practices akin to fashion styling and outfit creation? Bearing in mind the intrinsically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ttire moulded by individual memory and habit, is there scope for the audience to perceive their sartorial behaviour as a practice or compare it with performance? 비선형 착용 내러티브의 첫 번째 영상 ‘14개 드레스, 4가지 착용'은 개인적 차원의 착용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조명했다. 하지만 이 영상은 다음 질문을 낳았다: 옷을 입는 행위가 개인적인 루틴, 퍼포머의 일회성 퍼포먼스를 넘어 패션의 스타일링, 아웃핏처럼 집단이 공유할 수 있는 실천으로 확장될 수 있을까? 개인의 기억과 습관에 의해 형성되는, 본질적으로 개인적인 옷차림의 특성을 감안할 때, 청중이 자신의 착용을 실천으로 간주, 또는 퍼포먼스와 비교할 여지가 있는가? Comparing the performer’s experience with the audiences, engagement beyond passive observation becomes essential to transform dressing into a shared medium of interaction. For this to be practically significant, a language that could bridge the gap between daily wear and the performative ‘gesture of wearing’ is needed. This would help interpret the gesture of wearing, an objective that informed the second project in the series: an exploration of performative wear through performance theory and the development of tools to convert personal experiences into practice. 공연자의 경험과 관객의 경험을 비교해 볼 때, 입기를 공유된 매체로 상호작용하기 위해서는 관람을 넘어서는 개입이 필요하다. 실천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일상의 wearing과 퍼포먼스적인 gesture of wearing 사이의 간극을 해소할 수 있는, 착용을 해석할 수 있는 언어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시리즈의 두 번째 프로젝트에서는 퍼포먼스 이론을 통해 퍼포먼스적 착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험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적 경험을 실천으로 전환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했다. This film manifests as an archival repository of a performance experiment observing the dynamic alterations of clothing forms and human gestures through the gesture of wearing, based on the elements of Laban Movement Analysis (LMA) performance interpretation. The performer’s wearing process orbit around LMA’s four foundational principles: Body, Effort, Shape, and Space (BESS). Each element imposes wear constraints, fostering a more performative and artistic approach. In other words, it amplifies and maximises the visualis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body and clothes. It offers an interpretive lens elucidating the dialogue and exchange between the wearer and the garment, making the ritual and gesture of wearing observable and analytically accessible. 이 영상은 라반 움직임 분석의 퍼포먼스 해석 요소들을 바탕으로 착용을 통해 의복의 형태와 인간의 몸짓이 달라지는 양상을 관찰하는 퍼포먼스 실험 영상에 대한 아카이브다. 퍼포머들의 착용은 LMA의 네 가지 초석, 형태, 신체, 노력, 공간을 따라 전개된다. 각 요소들은 착용에 대한 제약을 부여해 더욱 퍼포먼스적이고, 예술-적인 접근을 촉구한다. 달리 말해 옷과 몸의 상호작용을 ‘과장'하고, ‘극대화'해 시각적으로 구체화한다. 이는 착용자와 의상 사이의 대화 및 교류를 해명하는 해석 렌즈를 제공, 옷을 입는 의식과 과정을 눈으로 확인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Shape’ challenges the conventional norms of donning and doffing clothing, imposing constraints on the unconscious, habitual interactions of the garment and body in everyday wear, all the while observing how the gesture of wearing adapts and evolves in response to these restrictions, and how the garment and body diversify the gesture of wearing to achieve completion of the act. By empowering the wearer to underscore their agency within the act of dressing, the 'Body' segment invites contempla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st the wearer, the designer, the garment, and the body. This facilitates the wearer's introspection of their identity as a wearer, and provides a platform to inspect wear from a pragmatic and performative standpoint.'Effort' theatrically amplifies the less typical elements of the body and clothing that accompany wearing, such as the weight of the garment, the rhythm and speed of wearing, and the overlooked exertion, underlining the performative dimensions of clothing and the body frequently disregarded in fashion discourse. The concluding segment, 'Space', illuminates the spatial nature of the gesture of wearing, scrutinising both tangible and metaphorical 'spaces' occupied by the gesture of wearing. It places a particular focus on the transformative potential of the wearing, shifting from the mundane to the extraordinary through a heightened awareness of space. It identifies the spheres generated by the symbiotic interaction of clothing and the body, recogni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constructed by clothing and the body. 형태는 일상의 착용에서 의식하지 않는 의복과 신체에 제한을 둬 옷을 입고 벗는 기존의 규범에 도전하는 동시에 이러한 제약에 대응해 착용의 몸짓이 어떻게 달라지고 적응하는지, 옷과 몸이 어떻게 착용의 몸짓을 다변화해서 착용을 마치는지 관찰한다. 신체 부문은 옷을 입는 행위에서 착용자가 스스로 본인의 주체성을 강조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와 디자이너, 옷과 신체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유도한다. 이를 통해 착용자는 착용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해 톺아보고 나아가 착용에 대해 실천적, 수행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노력은 옷의 무게, 착용의 리듬, 속도 등 착용에 수반되는 신체와 옷의 비정형적 요소들, 간과된 노력들을 연극적 측면으로 과장해 패션 담론에서 눈에 띄지 않던 옷과 몸의 수행적 관점을 강조한다. 마지막 섹션인 공간은 입는 행위가 차지하는 유형적, 은유적 ‘공간'을 조명해 입는 행위의 공간적 속성에 주목한다. 특히 공간에 대한 의식에 따라 착용의 몸짓이 일상에서 비일상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양상에 초점을 두고 의복과 신체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영역을 파악하고, 옷과 신체가 만들어내는 외내부의 공간을 인지한다. CREDITDirector: Muyo Park (@parkmuyo)Performance: Francesca Weir (@francescaimo)Teck Kroll (@flat_whyte)Image Director: Jinwook Kim (@jinwooook333)Cinematography: Ruilin Li (@lrl_0211)Editor: Gunhee Lee (@lee.tatehiro)Stylist: Minjee Kim (@umjimanji)Minjeong Kim (@minjeong___)Music:Svaneborg Kardyb - ‘Over Tage’ (@svaneborgkardyb)6 Orakaner5 Island4 Farvel3 Orbit